중국 타이어 공장 포집 TEST 보고서 (2017. 01. 12. 포집)
이 공장은 응축수 배출에 스팀 트랩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밸브의 개폐로 배출하고 있음. 전자밸브 개폐로 드레인만을정확하게 배출하고 있다고 믿어, 생증기 누출이 없다고 자신 만만한 공장이었습니다.
증기 응축수 포집 테스트를 통해 정량적으로 증기의 누출량 측정을 실시 하였습니다.
응축수 배출구에서 나오는 드레인과、누출된 증기의 두가지 유체(二相流体)를 물속(水中)으로 인도해서 모은 량을1~3분간 물에 흡수시켜줍니다. 작업 종료 후 물량(水量) 및 물의 온도(水温)을 측정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소정의 계산식에 입력하여、아래와 같은 보고서가 작성되었습니다.
【스팀트랩으로 배출되는 응축수내의 증기누출량을 정량(定量) 포집하여 분석】
참고 사이트:
⑴스팀트랩의 고장 진단 방법, 증기 누출 포집방법, 증기누출량 계산식
https://blog.naver.com/tjchung/221413528324
⑵증기의 에너지 절약은 스팀 트랩으로부터 실시
https://blog.naver.com/tjchung/221299007090
2017. 01. 12. 포집
● 증기 압력 : 0.8 MPaG
● 증기 현열 : 176.671 kcal/kg
● 증기 잠열 : 485.29 kcal/kg
측정장소 | 스팀트랩 기종 | 포집 전 | 측정시간 | 포집 후 | ||
물량 ℓ | 수온 ℃ | sec | 물량 ℓ | 수온 ℃ | ||
RTCH15 | 전자 밸브 | 15.6 | 23.7 | 100 | 16.7 | 47.8 |
O-TRAP No.1 | 15.6 | 15 | 60 | 16 | 19 |
![](https://blog.kakaocdn.net/dn/di5hJe/btrtKCdodOj/r5DBRtAGirhChMUDaE5RH1/img.jpg)
포집 전 과 포집 후 의 결과를 분석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전열 | 잠열 | 포집 물(水) 량 | 포집 잠열 | 누설 증기량 | 손실 금액 | 실 응축수량 |
kcal/kg | kcal/g | kg/h | kcal | kg/h | 円/年 | kg/h |
412.4 | 235.8 | 37.2 | 243.6 | 13.2 | 423,987 | 24.0 |
175 | 0.0 | 24 | 0.0 | 0.0 | 0.0 | 24.0 |
RTCH15 가류장치로는 전자밸브의 개폐로 드레인배출을 하고있어, 포집 Test를 실시한 결과, 실제 드레인 24 kg/h 을 더해서 생증기를 13.2 kg/h 배출하고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곳 RTCH15 가류장치의 경우 증기누출로 인한 년간 손실 금액 423,987 円/年 (환율 환산 약 460만원) 정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편, 오리피스 트랩인 O-TRAP・No.1 은 스무스하게 드레인만을 24 kg/h 배출하고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전자밸브 개폐시 동반 배출되는 증기량 (13.2 kg/h)은 전드레인량 (37.2 kg/h)에 대하여 35% 에 달하고 있어, 이 곳을 고정오리피스식 트랩인 O-TRAP 으로 교체하면 35% 정도의 대폭적인 증기소비량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측정장소 | 스팀트랩 기종 | 포집 전 | 측정시간 | 포집 후 | ||
물량 ℓ | 수온 ℃ | sec | 물량 ℓ | 수온 ℃ | ||
K-9 | 전자 밸브 | 20.8 | 31.5 | 100 | 21.5 | 43.4 |
![](https://blog.kakaocdn.net/dn/mnhQQ/btrtOzl0zky/x9AA12yF6OZLqLgvmbQmBk/img.jpg)
포집 전 과 포집 후 의 결과를 분석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전열 | 잠열 | 포집 물(水) 량 | 포집 잠열 | 누설 증기량 | 손실 금액 | 실 응축수량 |
kcal/kg | kcal/g | kg/h | kcal | kg/h | 円/年 | kg/h |
380.4 | 203.7 | 26.4 | 149.4 | 8.1 | 259,941 | 18.3 |
K-9 가류장치도 같은 전자밸브의 개폐로 드레인 배출이 되고 있어서, 포집 Test를 실시한 결과, 실제 드레인 18.3 kg/h 이외에 증기를 8.1 kg/h 배출하고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곳 K-9 가류장치의 경우 증기누출로 인한 년간 손실 금액이, 259,941円/年 (환율 환산해 약 280만원/년 정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고정 오리피스식 트랩인 "O・Trap" 을 설치한다면, RTCH15 가류장치와 마찬가지의 결과 개선이 예측됩니다.
여러분들께서도, 상기와 같이 구체적으로 "스팀 트랩 성능"을 체크해 에너지 절감 추진하는데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pZWp/btrtRV3HXCO/myMCCshPjfM5lXE2OwLWy1/img.jpg)
'스팀트랩(드레인배출기,O-T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팀 트레이싱, 증기 트레이싱, Steam Tracing (0) | 2017.11.12 |
---|---|
고정 오리피스식 스팀트랩인 응축수 배출기 (O・TRAP) 기종선정에 대한 실례를 곁들인 설명(장치용 트랩) (0) | 2017.11.12 |
고정 오리피스식 스팀트랩인 “O・TRAP” 과 Control Valve와의 결합으로 에너지 절감 및 Process Equipment 보호 (0) | 2017.07.03 |
정유공장 고정 오리피스형 스팀트랩(Orifice Trap) 채용에 의한 에너지 절약 개선 (0) | 2017.06.17 |
고정 오리피스식 스팀트랩 이 란? (0) | 2017.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