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기 에너지량 환산 방법
증기를 이용하는 건조 장치의 건조 열원은 포화 증기입니다.
건조시에 소비한 증기량을 에너지량으로 환산하려면, 증기량 환산의 계산에는 증기의 비엔탈피를 사용합니다.
엔탈피 | 내부에 가지는 열에너지로 내부의 에너지와 팽창, 수축하는 에너지를 맞춘 것 |
비엔탈피 | 단위 질량 당 엔탈피 |
열량 | 한 물질에서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에서 도입된 열 에너지 |
포화 증기는 포화 상태이며, 액상과 기상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입니다. 「증기표」에는 포화수(액상 부분)의 값과, 포화 증기(기상 부분)의 값이 병기되어 있습니다. 증기표에서는 포화수의 값 「’」, 포화증기값 「”」 이 첨자로 되어 있습니다.
1. 증기 에너지 포화 증기
아래는 증기표로 부터 발췌하여 계산하였습니다.
증기압력 (abs) |
증기온도 | h” : 비엔탈피 (포화 증기) |
r : 비엔탈피 (증발 잠열) ※ |
||||
MPa | ℃ | MJ/kg | kwh/kg | Mcal/kg | MJ/kg | kwh/kg | Mcal/kg |
0.1 | 99.63 | 2.675 | 0.743 | 0.639 | 2.258 | 0.627 | 0.539 |
0.2 | 120.23 | 2.706 | 0.752 | 0.646 | 2.202 | 0.612 | 0.526 |
0.3 | 133.54 | 2.725 | 0.757 | 0.651 | 2.163 | 0.601 | 0.517 |
0.4 | 143.62 | 2.738 | 0.761 | 0.654 | 2.133 | 0.593 | 0.509 |
0.5 | 151.84 | 2.748 | 0.763 | 0.656 | 2.107 | 0.585 | 0.503 |
0.6 | 158.84 | 2.756 | 0.766 | 0.658 | 2.085 | 0.579 | 0.498 |
0.7 | 164.96 | 2.762 | 0.767 | 0.660 | 2.065 | 0.574 | 0.493 |
※ h”(포화증기비엔탈피)-h'(포화수비엔탈피)=r(증발잠열비엔탈피) | |||||||
1kJ=0.000278kwh | 1kwh=3.6MJ | 1J=0.2388cal | 1cal=4.184J | ||||
1,000kJ=1MJ | 1,000kwh=1Mkwh | 1,000kcal=1Mcal |
2. 환산식
2-1. 증기 에너지량=[ h”(비엔탈피/포화증기)-(1-건도) ×r(비엔탈피/증발잠열)] × 증기량
2-2. 증기에너지량 = h”(비엔탈피/포화증기) × 증기량
3. 계산 예
증기 압력 0.4 MpaA
건도 0.8
증기량 308 kg/h
3.1 증기 에너지 량 = (2.738-0.2×2.085)×308= 714.87 MJ
198.57 kwh
170.71 Mcal
3.2 증기 에너지 량 = 2.738 × 308 = 843.30 MJ
234.25 kwh
201.38 Mcal
'스팀트랩(드레인배출기,O-T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정해진 물(水,water)의 량에 주는 열량 계산을 구하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 봅니다. (0) | 2021.12.29 |
---|---|
쟈켓탱크의 증기 열교환기에 필요한 열량 구하기 (열교환기 선정을 위한 용량 산출) (0) | 2021.12.28 |
증기주관(증기 수송관)에서의 스팀트랩 설치간격을 유지하는 이유는? (0) | 2021.12.18 |
보일러 급수온도와 에너지절감 (0) | 2021.12.14 |
증기 보일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드레인 (응축수)을 회수하여 재사용에 의한 효과는 어떻게 계산하면 좋을까요? (0)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