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축수정체 3

증기 사용시 온도제어 설비의 응축수 배출 정지조건

증기 사용시 온도제어 설비의 응축수 배출 정지조건온도를 제어하는 설비의 경우, 설비의 운전특성으로 인하여 전열면의 증기압력이 배압보다 낮게 떨어져, 응축수가 더이상 자력으로는 스팀 트랩을 통해서 배출 되지 못하는 “응축수 배출정지조건” 이 발생합니다.이 응축수 배출정지조건 이하에서는 국부적으로 혹은 전열면 전체에 응축수가 정체되어 아래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유발 합니다.▶ 온도제어의 불안정▶ 전열면의 부식 및 이로 인한 누수▶ 워터해머, 소음 및 이로 인한 설비의 심각한 손상 가. 피가열체의 유량이 일정하고 입구온도가 변하는 경우1. 피가열체 유량 : 3,000 kg/h2. 피가열체의 설계 입구 온도 : 20 °C3. 피가열체의 요구온도 : 80 °C4. 증기사용량 : 300 kg/h5. 증기공급압력 :..

증기 열교환기 와 트레이싱 시스템 (설계&현장 엔지니어를 위한 사례)

증기 열교환기 와 트레이싱 시스템 (설계 & 현장 엔지니어를 위한 예) 증기 열교환기 와 증기 트레이싱 시스템을 올바르게 설계하려면, 우선 시스템이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작동 특성을 모두 파악해야 합니다. 하지만 설계 엔지니어가 증기 시스템의 특성을 모두 파악할 수 없는 때가 있는데, 이는 대부분 성능 저하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증기 시스템의 작동 매개변수와 기록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시스템을 부적절하게 제어하거나 부품을 잘못 선택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설계 및 제품 선택 시 발생하는 일반적인 문제 산업용 증기 시스템을 설계할 때, 조기 고장이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본 원칙을 따라야 합니다. 전문가들이 다양한 장소와 산업체에서 수많은..

공조 설비인 증기 열교환기(AHU) 온도관리에서 발생하는 스톨 현상의 발생에 대해서

공장 공조설비인 증기열교환기(AHU) 온도관리에서 스톨 현상 문제발생에 대해서 ​ 공장의 공조설비에서 “증기식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공장 내 온도관리를 하는 유니트 히터는 물론 생산 설비에서 증기의 비례식 조정밸브(Proportional Control Valve)를 사용할 것입니다. 즉, 열교환기(공조설비, 반응기, 건조기 등)에 공급되는 스팀배관에 컨트롤 밸브가 설치 되어 있지요. 그럼, 그 컨트롤 밸브를 지나서 열교환기(공조설비, 반응기, 건조기 등)로 공급되는 실제 증기 압력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확인된 이 증기압력과 스팀트랩 후단 배압 압력차(ΔP)로 응축수 배출가능한 용량의 트랩이 선정되었는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이 압력차(ΔP) 존재 유무에 따라서, 응축수 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