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을 수 없을지도 모르지만,,, 기존 스팀트랩을「O-TRAP」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압도적인 에너지 절약을 실현합니다.
![]() |
·에너지 절약 시책을 검토.
·SDGs에 임하고 싶다.
·스팀트랩 관리가 힘들다.
·스팀트랩의 열화가 진행되고 있다.
·스팀트랩의 증기 누출이 심하다.
·스팀트랩 설치 후 5년 이상 교체하지
않았다.
|
「스팀 트랩의 증기 로스를 없애는 것이 압도적인 에너지 절약을 실현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고정오리피스식 스팀트랩인 "O-TRAP" 입니다.
일반적인 스팀트랩(이하 기존 스팀트랩=전통 스팀트랩 이라 부릅니다)은 자동적으로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증기를 누출하지 않고 드레인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가동 밸브식 전통 스팀트랩 이라고 합니다.
바이메탈식, 디스크식, 버켓식, 플로트식 등 기존의 가동 밸브식 스팀트랩은, 모두 어떤 뭔가 기계 시스템을 사용하여 밸브를 가동시켜, 개폐합니다.
이 가동 밸브식 스팀트랩에는 가동 부분에 해당하는 가동 밸브가 포함되어 있고, 스팀트랩 각각이 하루에 수백 회(번), 한 달에 수천 번, 1년에 수만~수십만 번 개폐합니다.
가동 밸브식 스팀트랩은 사용함에 따라, 가동 밸브가 마모되기 시작합니다. 즉 열화입니다. 마모가 진행되면 드레인 배출 시 동반 증기가 증가합니다. 그러다가 밸브가 닫힐 때에도 증기가 새기 시작합니다. 이 상태가 파손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시점에서 신품(중고유휴품이라도 상관없습니다만)의 스팀트랩으로 교환하지 않으면 증기가 계속 누출되어, 에너지 손실이 증대하게 됩니다.
가동 밸브는 공장의 가동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설치 후 2~8년에 열화(마모)가 진행됩니다. 가동 밸브가 열화(마모)됨에 따라, 동반 증기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것이 증기 로스입니다.
증기 손실이 증가하면, 실제로 필요한 증기량에 플러스 증기 손실만큼의 증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보일러가 쓸데없이 가동하게 되어, 연료비가 많이 듭니다. 귀사의 공장에서도, 공무팀의 보전 담당 분들이 매일 매일 스팀 트랩의 열화 정도를 관리하고, 열화가 진행된 스팀트랩은 신품으로 교환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밸브가 없는 스팀트랩이 있으면 열화의 진행이 느려져=손상되지 않는다. 그것이 고정오리피스식 스팀트랩(O-TRAP)입니다. 실제 가동 20년 이상의 고정오리피스식 스팀트랩(O-TRAP)은 여기저기에 존재합니다. 고정오리피스식 스팀트랩(O-TRAP)을 채용하면, 증기 로스가 당초 설계한 양으로부터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증기 로스가 격감해, 에너지 절약이 됩니다. 그리고 보전 담당자분들의 스팀트랩 관리를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열화가 느리고, 잘 고장나지 않는 새로운 시대의 스팀트랩이 고정오리피스식 스팀트랩인 "O-TRAP"입니다. 귀사 공장의 스팀트랩을 「O-TRAP」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그때부터 증기 로스가 격감해, 보일러로 소비하는 연료를 삭감할 수 있어, 대폭적인 에너지 절약으로 연결됩니다. 스팀트랩 교환에 드는 보수비용 절감으로도 이어집니다. 좋은 일일 뿐입니다.
이전부터 밸브가 없는 스팀트랩(오리피스식 스팀트랩)는 있었습니다만, 좀처럼 그다지 많게 보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설치장소에 따라서 최적의 기종 선정(모델 선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저희들은 그 선정 기술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그 기술을 통해, 최적의 "O-TRAP" 모델을 여러분들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도입한 그날부터 에너지 절약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스팀트랩의 정기적 교환/교체가 필요 없게 됩니다. 바로 "O-TRAP"을 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희는 증기 로스의 파악(실제로 얼마나 손해를 보고 있는가?)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경험상, 증기 손실은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욱 매우 많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O-TRAP"의 도입에 앞서 현상파악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현황파악도 저희가 가능합니다.
검토·상담은 070-7747-8290 또는 E-mail: tjchung@naver.com 으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기존 스팀트랩 과 “O-TRAP”의 증기 손실 간이 계산
![]() |
||
약간의 정보가 있으면, 현재, 귀사가 스팀트랩에서 얼마나 증기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을 금액 환산함으로써, "증기 로스에 의한 손실액"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증기 로스의 간이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는, 설치한 보일러 증기발생량(t/h)과 가동시간(hr/년), 스팀트랩수량입니다.
현재의 손실액을 파악해, 「O-TRAP」과 교체하면, 어느 정도 코스트 삭감이나 에너지 절약으로 이어지는지를 안내합니다.
|
가동부가 없는 심플한 설계로 증기 손실 절감 실현
「O-TRAP」은 가동부가 없는 심플한 설계입니다. 드레인이 확실하게 배출되고, 증기 누출은 거의 없으므로, 증기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기존 스팀트랩에서 O-TRAP으로 교체할 것을 권장합니다. O-TRAP으로 교체하면, 쓸데없이 보일러가 가동되어, 연료를 낭비하는 일이 줄어듭니다. 게다가 "O-TRAP"은 기존의 스팀트랩과는 달리, 2년에서 5년 정도의 단기간에 경년 열화할 염려도 없습니다. 주기적으로 교환·교체할 필요가 없고, 거의 메인테난스가 프리로, 점검·관리도 하기 쉬우며, 나날이 에너지 절약 작용이 높은 것이 장점입니다.
|
![]() |
설치 사례
O-TRAP으로 교환 공사를 실시한 일부 개소의 Before /After의 소개입니다.
교환 설치 후 기기 본체의 좌측(이미지의 sp2 스팀트랩의 2차측)의 온도가 100℃ 이하가 되어 증기 누출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외형이 스타일리쉬가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 타이어 공장
![]() |
타이어 공장에서는 가류(가황) 공정에서 가류기 내의 금형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종래의 가동 밸브식 스팀트랩의 경우, 밸브의 개폐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드레인의 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류기 내 온도가 불안정해지기 쉽습니다.
한편, "O-TRAP"은 드레인을 연속 배출하기 때문에 가류기 내 온도가 안정되어 타이어의 품질 안정에 공헌합니다.
|
(2) 음료 공장
![]() |
음료 공장에서는 극소차압(0.05MPa 이하)에서의 드레인 배출을 위해, 파워트랩(=오그덴펌프)을 이용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단, 파워 트랩(=오그덴펌프)은 도입 비용이 높은데다 고장 빈도도 많아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드는 것이 걸림돌입니다.
한편, " O-TRAP "은 도입 비용이 싸고, 고장은 거의 없고, 유지 보수 비용이 낮은데다가, 거의 경년 열화가없고 교환 불필요하기 때문에, 파워 트랩이 안고있는 "비싸고, 잘 고장나고, 유지 보수 비용이 높다"라는 걸림돌은 모두 해소됩니다.
|
(3) 발전소
![]() |
발전소에서는 최고사용압력 20.0MPa·G 및 최고사용온도 500℃에 대응할 수 있는 트랩이 필요합니다.
가동 밸브식 스팀트랩은 넓은 공간이 필요한 거대한 사이즈 크기가 되어, 가격도 비싸집니다.
한편, "O-TRAP"이라면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으며, 가격도 저렴해집니다.
|



#고정오리피스식스팀트랩, #오트랩, #OTRAP, #궁극적인응축수배출스팀트랩, #워터햄머, #열교환기증기드레인배출스팀트랩, #고장나지않는스팀트랩, #밸브없는스팀트랩, #밸브없는증기트랩, #초기성능장기유지하는스팀트랩, #고압증기환경에서뛰어난증기트랩, #발전소, #음료공장, #타이어공장, #가류기용스팀트랩, #헤더용스팀트랩
O-TRAP 상담문의 ;
TEL : 070-7747-8290
E-Mail : tjchung@naver.com , tjchung@hanmail.net
홈페이지: http://k.o-trap.cn
'스팀트랩(드레인배출기,O-T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어 제조설비인 가류기에 있어서 고정오리피스식 트랩(O-TRAP)으로 증기소비량 절감에 의한 에너지 절감 제안 (0) | 2025.03.11 |
---|---|
기존 스팀트랩을 O-TRAP으로 대체하는 궁극적인 응축수 배출장치 설명 (0) | 2025.03.10 |
증기로 멸균하는 멸균실 증기 사용량 계산 방식 (0) | 2025.03.08 |
초지기 실린더 드라이어(제지용 건조기) 증기 에너지 절감에 대한 대처 (2) | 2025.02.14 |
응축수 탱크에서 뭉게뭉게 모락모락 새는 증기와 폐열 회수하여 에너지 절약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