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오리피스식스팀트랩 5

고정 오리피스식 스팀트랩(O-TRAP)을 설치 사용 가능한 곳에 대해서

고정 오리피스식 스팀트랩(O-TRAP)을 설치 사용 가능한 곳에 대해서 설명드립니다. ◎ O-TRAP은 조절 밸브(CV) 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 가능 합니다. 1. 조절 밸브(CV)로 증기 제어하는 장치에도 O-TRAP을 사용 가능 합니다. 2. 조절 밸브(CV)가 없는 장치에서도 O-TRAP을 사용 가능 합니다. 3. 부하변동시의 증기 누출량 계산 1. 조절 밸브(CV)로 증기 제어하는 장치에 O-TRAP 을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입니다. 증기가 열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는, 피가열측 유체의 온도를 콘트롤 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안정되었을 때 운전에서는, CV열림이 일정하여, 안정된 증기유량으로, 시스템은 밸런스가 잡히게 됩니다. ① 피가열측 유체의 유량이 증가한 경우 P0 및 P1은 언제나 일정합니다..

작은 구멍(소공小孔)에서 누설되어 새는 증기와 증기배관・스팀트랩에서의 방열손실 절감하여 이익을 추구합시다!!

이익을 추구하려면 작은 구멍(소공小孔)에서 누설되(새)는 증기・증기배관과 증기트랩에서의 방열손실을 생각해야 합니다. 배관에서의 방열손실 예를 들어, 세탁소(클리닝점) 공장에 가면、공장은 겨울은 좋지만 여름은 무척 덥지요…당연합니다 요、배관이 대략 170℃~180℃ 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서투른 난방보다 더 강열하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열을 낭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보온재 없음 32A 배관 1m 방열량 384W △86,900원/m/년 보온재 없음 25A 배관 1m 방열량 195W △43,500원/m/년 500K 보일러、연소 효율 90%、등유단가 1,000원으로 1일 9시간 가동、년간 260일 가동의 경우 보온하지 않았다면 위와 같이 배관 1m 당의 1년간 방열손실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어느 세탁..

증기설비의 증기에너지절감, 증기배관・스팀트랩에서의 방열손실 절감대책

★ 기존 스팀트랩을 고정 오리피스식 트랩(O-TRAP)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증기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발생하는 응축수를 연속식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드레인 막이 얇아지고, 건도가 높아져 증기의 품질도 향상됩니다. ​ 세탁(클리닝)공장에서의 품질관리와 에너지 절약은 올바른 스팀트랩 선택만으로도 달성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빌딩의 급탕 열교환기, 화학공장, 식품공장, 제약공장은 물론 클리닝(세탁)공장에서 사용되는 드라이기・ 텀블러・아이롱(다리미)・각종 프레스 등 증기를 사용하는 기기의 대부분은 스팀트랩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스팀트랩이란 글자 그대로 스팀(증기)를 트랩에 걸어 가두는 장치입니다. 증기 수송관은 보일러에서 증기와 함께 실려 물방울과 증기가 열교환 장치에서 방열 응축된 수분이라든가 긴..

스팀트랩(증기트랩)에 의한 열효율 계산, 스팀트랩 구경 선정시 고려사항

스팀트랩(=증기트랩)에 의한 열효율 계산 증기시템에서 응축수는 에너지 절감 및 효율면에서 반드시 회수하여야 됩니다. 스팀트랩을 통해서 회수 가능한 에너지는 “응축수” 와 “재증발증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열량은 압력차에 의해서 차이가 날수 있지만 비율은 반반 정도로 추정됩니다. 에너지 회수량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응축수의 현열만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가정1) 스팀트랩에서 응축수 탱크로 유입되면, 대기 벤트에 의해서 재증발증기가 빠져나가고 최대 90 ℃ 의 온도가 유입됨 가정2) 현재 급수온도가 20 ℃ 로 유입됨 가정3) 급수량은 1,000 ㎏/hr 임 급수와 응축수에 따른 에너지 절약비용 산출 ; Q = M * Cp * (T₂ - T₁) = 1,000 ㎏/hr * 1 ㎉/㎏℃ * (90-20)℃..

스팀트랩의 응축수 배출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condensate discharge from steam traps

스팀트랩의 응축수 배출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condensate discharge from steam traps. 요즘 들어서 O-Trap의 응축수 배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질문들이 부쩍 많아 아래에 정리해 봅니다. 스팀트랩에서의 응축수 배출원리는 차압(△P)에 의한 응축수 배출입니다. 스팀트랩의 배출능력(Capacity 배출용량)은 트랩입구(트랩1차측) 와 트랩출구(트랩2차측) 사이의 압력차(△P)에 의해 결정되므로, 트랩입·출구의 압력을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합니다. 즉, 배압조건 등을 잘 파악하여야 합니다. 배압조건으로는 응축수 배출라인에서의 압력강하, 응축수 회수라인내의 압력(재증발증기 회수 유무 및 회수 방법), 응축수회수관의 높이에 따른 정압 수두압력(1m 상승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