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축수배출 14

스팀 트랩(디스크식 트랩 등)에서 증기 누출로 일으키는 트러블(문제)

스팀 트랩에서 증기 누출로 일으키는 트러블(문제) 증기 트랩의 문제중에서도 주로 ⑴증기가 체류하여 일으키는 문제 와 ⑵증기가 누출되어 일으키는 트러블(문제) 두가지가 중점적으로 일어나는 트러블 입니다. 이번에는 ⑵증기가 누출되어 일으키는 트러블(문제)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께서도 잘 아시는 사항이겠지만, 트랩이 요구되는 기능 중 하나인 "증기를 누출시키지 않는 기능"이 있습니다. 트랩으로부터의 증기 누출은, 본래라면 생산에 사용되어야 할 증기가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고 있기 때문에 연료비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매우 아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증기 누출 문제를 생각하는 가운데 매우 깊게 관련되어 있는 트랩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디스크식 스팀 트랩 (디스크식 트랩) 』입니다..

증기배관의 커다란 적인, 워터해머 주의, 응급처치법

증기배관의 커다란 적인, 워터해머에 주의합시다!! 대책을 세워 공장설비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만약에 해터해머가 발생한 경우의 응급처치 방법은? ​ 워터 해머는 수격이라고도 불리며, 배관 내의 증기가 드레인화되어 덩어리가 되어 L자관 등의 이음매(피팅)에 부딪치거나 덩어리끼리가 부딪쳐 큰 충격음이 나오는 현상입니다. 충격에 의해 배관이나 이음매(피팅) 등이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밸브를 개방할 때, 갑자기 여는 것은 워터 해머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NG라고 들 하므로, 천천히 열고 있습니다만, 그래도역시 쿵쿵하는 소리가 날 수도 있고, 시간도 손도 많이 가기 때문에 솔직히 계속하는 것이 힘듭니다. 밸브를 천천히 열어도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워터 해머가 발생하게 ..

증기 응축수 회수 배관(환수관) 설비 방법

응축수 회수 배관 설치시 참고 사항 ⑴응축수를 환수 메인관에 유입시키는 데 있어서, 90° 배관 보다는 45° 엘보우로 접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⑵냉각 다리 설치 (Cooling Leg) 열교환기와 같은 증기설비에서는 Cooling Leg (냉각 다리)를 설치하여 잔여 증기의 응축이 원활하게 되기 위하여 보온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Cooling Leg에 관하여, 기계설비 기준사항에는 1.5m 정도로 나와 있으나, 대략적으로 1~1.5m 정도로(수직관있으므로) Cooling Leg 설치를 하는 것이, 스팀트랩의 효과적인 응축수 배출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응축수를 연속 배출하는 고정오리피스식 스팀트랩인 "O-TRAP" 이나 "볼 플로트 트랩" 설치를 추천합니다. 열교환기 쪽에(공조기, 판..

응축수 회수 배관(드레인 환수라인)에서 심한 워터해머 발생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응축수 회수관에서의 워터해머 로 인한 발생으로 주민 민원 해결이 시급해 분석해 봄. ​현황⑴보일러 증기압력은 5kgf/㎠·G, 사용증기압력은 2kgf/㎠·G (지하4층의 보일러실헤더→18층으로 증기 이송, 이송 거리는 약 65m, 증기수송배관직경 ? A, 증기압력손실 ? kgf/㎠·G 예상 됨, 감압변을 거쳐 2 kgf/㎠·G, 사용증기압력은 2kgf/㎠·G, 스팀트랩을 통해 응축수 배출, 응축수 회수배관 직경 50A, 응축수 회수관 약 50m 수평 이동 후, 지하4층으로 자연 낙하) ​ 현황⑵응축수회수관은 약50m정도의 긴 굴곡 배관이며→배관이 꺽인부분에서 워터해머 많이발생. 이러한 워터해머 발생으로 인해 위/아래 층 주민들로부터 민원이 발생. 현황⑶열교환기의 코일 파손 발생으로 인해 수리하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