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피스의 유량 계산 방법을 알고 싶은데, 가능하다면, 오리피스 구멍 지름(직경)의 설계도 할 수 있게 되고 싶으면, 이 내용을 읽는 것으로 오리피스의 유량 계산과 오리피스 구멍 지름의 설계를 할 수있게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오리피스의 유량 계산 방법"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오리피스의 유량 계산방법
![](https://blog.kakaocdn.net/dn/7n9o3/btq6FtBLlpY/8kByq5kG28kzEIfaR7OgI1/img.jpg)
오리피스의 유량계산식
오리피스의 유량 계산식은 아래 식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2wMB4/btq6BapFssU/8EZggx9WEjeAqsiEOxHKU1/img.jpg)
오리피스 유량계는, 오리피스 전후의 차압 Δp를 측정하여, 유량 Q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유량 계수 C의 참고치
![](https://blog.kakaocdn.net/dn/dxAlAs/btq6CPL5Oc2/osK6KC6Kpri4S6ShtFo9v0/img.jpg)
유량계수 C의 참고치는, 위의 그래프를 읽어냅니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 식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6NCbB/btq6z4XZ4kP/sJhtKvdlwoQ9PfQ8AtIeZK/img.jpg)
유량 계수 C는, 개공비(開孔比) m 와 레이놀즈 수 Re 의 함수가 되지만, 한계 레이놀즈 수 ReT 이상에서는, (2)식과 같이 개공비 m 만의 함수가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lw7J/btq6BEEih9l/mdhPCpkfekZu8jiwlX69Gk/img.jpg)
한계 레이놀즈 수 ReT는, 개공비(開孔比) m의 함수로, 위의 그래프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 식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byECQ/btq6EU7o43C/PQDMHGEJmFCeY8qJPKwlB0/img.png)
따라서, 레이놀즈 수 Re 가 한계 레이놀즈 수 ReT 보다 큰 경우는, (2) 식을 사용하여 유량 계수 C를 구할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유속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 레이놀즈 수 Re 는 한계 레이놀즈 수 ReT 이상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오리피스 판을 삽입하는 것과 같은 조건에서는, 한계 레이놀즈 수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량 Q의 산출 순서
다음 절차로 유량 Q를 구할 수 있습니다.
◈ 유량 Q의 산출 순서
① 배관 직경 D1과 오리피스 구멍 지름 D0을 조사한다.
② 유량 Q를 가정한다.
③ 오리피스 전후의 차압 ΔP를 계산한다.
④ 개공비(開孔比) m을 산출한다.
⑤ (2)식으로부터 유량 계수 C 를 산출한다.
C = 0.597 - 0.011m + 0.432㎡ (2)
⑥ (1)식에 유량 계수 C를 대입해서, 유량 Q 를 구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DgwAu/btq6PCZfbBc/eqSHZoisDy677kSpk74yak/img.png)
⑦ 가정한 유량 Q 와 일치할 때까지 시행착오를 겪는다.
⑧ 레이놀즈 수 Re 를 구한다.
![](https://blog.kakaocdn.net/dn/xT4RP/btq6RIFywU7/mEpd977mhLtmXdJmlb14Fk/img.png)
⑨ ⑧에서 산출한 레이놀즈 수 Re가 한계 레이놀즈 수 ReT 이상인지 확인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TGhQk/btq6CCzucD2/COnSoxMnbNhO8tkW57Lrak/img.png)
오리피스 구멍 지름 D0의 설계 절차
아래 절차로 오리피스 구멍 지름 D0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오리피스 구멍 지름의 산출 순서
① 필요 유량 Q 를 설정한다.
② 배관경 D1 을 조사하여 오리피스 구멍 지름 D0 을 가정한다.
③ 오리피스 전후의 차압 ΔP 를 계산한다.
④ 개공비 m을 산출한다.
⑤ ⑵식으로부터 유량 계수 C 를 산출한다.
C = 0.597 - 0.011m + 0.432㎡ (2)
⑥ ⑴식에 유량계수 C 를 대입해서 유량 Q를 구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TbypE/btq6Gpuh9Gj/YqAMvyIJBvu45bTDVIHug0/img.png)
⑦ 가정한 유량 Q 와 일치할 때까지 시행착오한다.
⑧ 레이놀즈 수 Re를 구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mEHM8/btq6Q60VhH6/hBzGVkNQJo9sopz9DTcqhK/img.png)
⑨ ⑧에서 산출한 레이놀즈 수 Re가 한계 레이놀즈 수 ReT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TGhQk/btq6CCzucD2/COnSoxMnbNhO8tkW57Lrak/img.png)
계산 예
그럼 구체적인 계산 예를 통해, 이해를 심화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산 예 ① 오리피스의 유량 계산
![](https://blog.kakaocdn.net/dn/cJonyq/btq6BeTj56d/Y9gsweKve5cyzmeFdhfTk1/img.jpg)
계산 전제
오리피스 1차측압력 P1 = 400 kPaG
오리피스 2차측압력 P2 = 50 kPaG
배관 직경(지름) D1 = 0.080 m
오리피스 구멍 직경(지름) D0 = 0.020 m
유체 밀도 ρ = 1000 kg/m³
유체 점도 μ = 1.0 × 10-3 Pa·s
압력계 ~ 오리피스 사이의 배관 압력 손실 ΔP1
오리피스 ~ 탱크 사이의 배관 압력 손실 ΔP2
※ 배관 압력 손실은 차압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작다. (ΔP1 = ΔP2 = 0)
① 배관 직경 D1과 오리피스 구멍 지름 D0을 조사한다.
계산전제에 따라 배관직경은 D1=0.080 m, 오리피스 구멍지름은 D0=0.020 m
여기에서 오리피스 구멍의 단면적 A0를 구해 둡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3Pl1H/btq6HQDrJj2/H7llTBWlgkskKbkETbCK2k/img.png)
②유량 Q를 가정한다.
Q=17.9 m³/h이라고 가정합니다.( Q = 0.0050 m³/s )
③ 오리피스 전후의 차압 ΔP를 계산한다.
ΔP = P1 - P2 = 350 kPa
④ 개공비 m을 산출한다.
⑤ (2)식으로부터 유량 계수 C를 산출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yiHjC/btq6CCGehCY/5E0S5LbfCRipjEMu1sK9Bk/img.png)
⑥ (1)식에 유량 계수 C를 대입해서、유량 Q를 구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oXxg7/btq6CB8nqaN/mikC8eKlla1YpdJuI5XkoK/img.png)
⑦ 가정한 유량 Q 와 일치할 때까지 시행 착오한다.
이번 계산에서는, 가정한 유량과 계산 결과의 유량이 일치했기 때문에, 시행착오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⑧ 레이놀즈 수 Re 를 구한다.
먼저、배관 단면적 A1을 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QY3N/btq6ARc4eIX/9sJ0m316BZPypTk7m80BW1/img.png)
다음에、 배관 유속 u1 을 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20rZD/btq6DSV7Hd4/KsWgUGikvdfruXRyovzkU1/img.png)
따라서、 배관 유속 u1 을 이용해 레이놀즈 수 Re 를 구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bByv0/btq6Aubgz5q/5XhGXzyHuoID0rEOx5THsK/img.png)
⑨ ⑧에서 산출한 레이놀즈 수 Re 가、한계 레이놀즈 수 ReT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한계 레이놀즈 수 ReT 를 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2C6I/btq6DTgp66P/NQNobYUCfRMQI45WNYJVe0/img.png)
이 되기 때문에、(2)식의 적용 범위여서、 계산 결과는 타당하다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간편하기 위해서、 배관의 압력 손실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했지 만、 실제 설계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배관의 압력 손실 계산 내용에 대해서는、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주십시오.
계산 예 ② 오리피스 구멍 지름(직경)의 설계
![](https://blog.kakaocdn.net/dn/ccHccJ/btq6FuHsNXR/ErTs7mbn2wCUAk6jUiYPGk/img.jpg)
계산 전제
오리피스 1차측압력 P1 = 275 kPaG
오리피스 2차측압력 P2 = 0 kPaG
배관 직경(지름) D1 = 0.15 m
오리피스 구멍 직경(지름) D0 = 0.050 m
유체 밀도 ρ = 1000 kg/m³
유체 점도 μ = 1.0 × 10-3 Pa·s
압력계 ~ 오리피스 사이의 배관 압력 손실 ΔP1
오리피스 ~ 탱크 사이의 배관 압력 손실 ΔP2
※ 배관 압력 손실은 차압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작다. (ΔP1 = ΔP2 = 0)
① 필요 유량 Q 를 설정한다.
이번에、필요한 유량을 Q = 100 m³/h 로 설정합니다.(Q=0.028 m³/s)
② 배관 직경 D1 을 조사하여、오리피스 구멍지름(직경) D0 을 가정한다.
계산 전제로 부터、배관 직경(지름)은 D1=0.15 m 로、
오리피스 구멍 직경(지름)은、D0=0.050 m 로 가정합니다.
여기서、오리피스 구멍 의 단면적 A0 을 구해 둡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j7Kp/btq6AtQYgpX/XqWPJ1E8sTHQwLntz8Xkn1/img.png)
③ 오리피스 전후의 차압 ΔP 을 계산합니다.
ΔP = P1 − P2 = 275 kPa
④ 개공비(開孔比) m 를 산출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xtDG/btq6EWKXj2E/3ZrzJqwITQPI7Yv8ykrHI1/img.png)
⑤ (2)식으로부터 유량 계수 C 를 산출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fKqR4/btq6AcIHWC3/3C6MKc4CRh6fadGaukJIMk/img.png)
⑥ (1)식에 유량 계수 C 를 대입해서、유량 Q 를 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ECWt6/btq6BERNlmM/tHGRg65r375esEsiNRU171/img.png)
⑦ 가정한 유량 Q 와 일치할 때까지 시행 착오 합니다.
이번 계산에서는、가정한 유량과 계산 결과의 유량이 일치했기 때문에、시행착오는 필요 없습니다.
⑧ 레이놀즈 수 Re 를 구합니다.
먼저、배관 단면적 A1 을 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uVM94/btq6Be6TKYo/zzMfdGM5B3YbltREUxKoK1/img.png)
⑨ ⑧에서 산출한 레이놀즈 수 Re 가、한계 레이놀즈 수 ReT 이상인지를 확인합니다.
한계 레이놀즈 수 ReT 를 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j4sdS/btq6HRh4H2j/U8MLuuKC4i3uKoYzd2tR5k/img.png)
이 되기 때문에, (2)식의 적용 범위이며, 계산 결과가 타당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2) 식의 적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계산에서 구한 오리피스 구멍 지름(직경)의 전후 수 mm를 줄인 예비 오리피스 판을 만들어 두면 좋습니다.
고정오리피스식 트랩인 O-TRAP 관련 정보에 대한 상담은 아래 연락처로~ ;
Tel : 070-7747-8290
이메일 주소 : tjchung@naver.com
홈페이지 주소: http://k.o-trap.cn
O-TRAP 선정-北京希必爱商贸有限公司
막히기 어려운 소용량용 표준형 (접속경 15A)은 오리피스(구멍) 지름이 최대Φ2.3㎜로, 비교적 매우 작으며, 비교적 매우 작으며, 막힘방지하기위해 본체에 전용 Y- Strainer 와 Ball Valve를 세
k.o-trap.cn
'스팀트랩(드레인배출기,O-T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관 오리피스 계산 방법과 계산 예 (배관 내를 흐르는 물의 오리피스 이후의 유량 구하기) (0) | 2021.06.10 |
---|---|
배관에 사용되는 제한 오리피스 직경 (구멍 지름)의 계산 절차 (0) | 2021.06.08 |
2축 디스크 건조기(CD Dryer), Paddle Dryer, 2축 컷 더블 디스크 건조기(Cut Double Disc Dryer)와 O-TRAP의 영향 (0) | 2021.05.21 |
O-TRAP (스팀 트랩) 기종 선정을 위한 응축수 발생량 계산식 (파악) (0) | 2021.04.19 |
공업용/산업용 다리미/아이롱 변천사 (0) | 202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