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37

스팀 트랩(O-TRAP)의 접속방식 (연결부, Connection)에 대한 의견

증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배출기인 스팀 트랩의 접속방식 (연결부, Connection)에 대한 의견입니다.나사 접속 (Screw, 유니온 접속) 타입은 응축수량이 많은 대형기가 되면, 진동 등 영향으로 나사부에서 증기 누출을 일으켜 버리기 쉽기 때문입니다.트랩 비용 때문에, 플렌지 접속 기종을 피하고 나사 접속 (Screw connection) 을 선택하는 등, 스펙을 조금 떨어뜨리게 되면, 가동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접속부에서 증기가 누설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응축수량이 많은 대형 장치(설비)의 스팀 트랩은 플렌지 형(소켓 용접 유형 등)으로 체결할 것을 추천한다는 것입니다.  (맥주 공장 등 응축수 대량에서 플랜지형으로 대체하지 않으면 않게 되었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공조기, 열교환기 등 스팀 코일 파손인 크랙 원인과 대책

에어 핸들링 유닛 (AHU)의 스팀 코일 파손인 천공 트러블 빈발에 대해증기 히터의 천공 파손(트러블 발생) 요인은 다양하게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공통적인 요인으로 들 수 있는 것이 증기 코일 내에 체류하는 증기 응축 드레인(응축수)의 존재입니다. 그래서 대책 중의 하나의 접근법은 증기 코일 내에 증기 응축 드레인(응축수)을 남기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증기 히터(열교환기)와 스팀 트랩 사이에 충분한 낙차를 확보할 수 있으면, 수두압=중력으로 드레인을 증기 히터 내에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새롭게 기기를 도입하지 않아도 천공 트러블 대책이 될수 있겠지만 높이 방향 거리 등을 덜기 위한 레이아웃 변경은 지면을 파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는 경우가 많아, 건물..

O-TRAP(고정오리피스식 스팀트랩)과 기존 재래식 스팀트랩의 증기 누설 비교

O-TRAP=오트랩(고정오리피스식 스팀트랩)과 기존 재래식 스팀트랩의 증기 누설 비교​1) 현실적으로 100% 포화증기는 없습니다. 열 에너지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가열 설비와 증기 배관을 보온(단열)하더라도, 방열로 인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피할 수 없습니다.현실적으로 응축수를 생성하지 않는 포화증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O-TRAP은 응축수가 전혀 없는 포화증기만이 있더라도 누출되는 증기의 양은 놀라울 정도로 적습니다.​2) 재증발 증기는, 증기가 누설되는 듯한 착각(환상)을 일으킵니다.대기압 하에서 물은 기체(증기)로 변하면 부피가 1600배로 커집니다. 따라서, 대기중에서는 아주 적은 양의 증기라 할지라도 하얗게 보입니다.또한, 고온(100°C 이상)의 응축수가 대기 중으로 방..